korea

[스크랩] 고구려의 초기에 어떤일들이 있었나?

zarashin 2007. 3. 12. 14:37

(1)

 

고구려 2세 유리왕의 조 ;

유리왕 26년 3월에 고구려 태자 해명이 황용국에 갔다오다 왕이 천도코저 하였으나 태자가 따르지 않고 구도에 머물다. 황용국왕이 사신을 보내어 큰활을 증여하다 태자 해명이 그활을 뿌러떠리고는 강한 활이 아니라하다. 고구려왕이 이를 듣고는 대노하여 해명은 불효하니 과인을 위하여 이를 주하소서 하다. 황용왕이 사자를 보내어 상견하기를 청하고 태자가 갈려고하나 말리는자가 있어 태자가 가로대 하늘이 나를 죽이려아니하거늘 황용왕이 무엇인고 하고 드디어 가니 황용왕이 감히 해하지 못하고 예로서 반송하니라. 고구려 유리왕 28년에 고구려왕이 해명에게 사람을 보내어 천도함은 백성을 편안케하려함인데 너는 나를 따르지않고 이웃나라에 원수를 맺느냐 하며 검을 하사하니 스스로 죽어라 함이라. 태자가 자살코저하나 어떤이가 말리며 대왕의 장남이 졸하고 태자가 이를 이어야 하거늘 어찌 자살코저하느냐 태자왈 내가 강궁을 뿌러터린것은 그나라를 무시하고 한 것이 아니거늘 부왕에게 득책하고 부왕이 나에게 불효라하여 검으로 자살하라하니 어찌 부명을 어기리오 하고 내려진 동원에 왕 하여 창을 땅에 꽂아놓고 말을 달려 창에 찔려 죽으니 그때 나이는 21세라 태자의 예로서 장사 지내다.

고구려 유리왕 37년에 하4월에 왕자 부진에서 익사하니 시체를 구하지 못하다가 비류인 제수가 시신을 얻어 드디어 예로서 왕골령에 장하고 제수에게 금 10근과 전 10경을 하사하다. 추7월에 왕이 두곡에 행행 갔다가 동 10월에 두곡이궁에서 몽하니 동곡동원에 장하고 유리왕이라 시호하고 태자 뮤휼이 새왕으로 입하다.

 

(2)   고구려 3세 대무신왕의 조 (계속)

(가)   부여왕 대소의 침입과 죽음

(나)   한나라의 요동태수의 고구려 침입

(다)   왕자 호동의 이야기  (계속)

출처 : 임경택의 블로그
글쓴이 : 임경택 원글보기
메모 :
고구려의 건국신화 (주몽 이야기)(3)
2007.02.23 13:27

고구려19년 여름 4월 고구려왕이 그 아들 유사로써 태자로 봉하다.초에 왕이 부여에 있을 때에 예씨를 취하여 임신하였더니 왕이 출분한 후에 유사를 출생한지라 유사는 기개와 절조가 있어 놀면서 새를 잡느라고 탄환으로  물을 길어오는 여인의 항아리를 명중하여 항아리를 깨니 그아낙네가 애비없는 자식이 이렇다고 하니 유사는 탄약을 다시 재어 자기 집으로 돌아와 그 어미에게 묻기를 나의 아버지는 누구요 지금 어디에 계시오 한지라   어미는 너에게 정한 애비는 없다고한지라 유사는 울면서  정한 애비가 없으면 무슨면목으로 세상에 설수 있으리오? 하고 자살코저하니 어미가 이를 말리며 앞에 한 말은 농담이라 너의 애비는 보통사람이 아니라 나라에서 용납못하고  도망가서 나라를 여니라 유사가 하는 말이 아비는 임금이 되었으나 그 자식은 필부이니 어찌 괴이하다 아니하리오 하니 애미가 하는 말이 너의 부친이 집을 나갈 때 나에게 한 말이 유물이 있으니 칠령칠곡에 돌위에 소나무밑에 감추어 두었으니 이를 가지고 오는자는 나의 아들이라 하였다고하니 유사가 산곡을 편행하여 수색하나 부득이더니 하루는 주초간에 (기둥과 초석사이에) 소리가 있음을 듣고 자세히 살핀즉 초석에 칠능(일곱 모서리)가 있는지라 스스로 풀이하여 가로대 칠능칠곡이라 함은 일곱 모서리요 석송상(돌위에 소나무)는 기둥이라 하고 내내 기둥밑을 수색하여 단검 한자루를 얻으니라 이를 간직하고 옥지 구추 도조 등 셋 벗과 함께 졸본으로가서 부왕을 알현하고 단검을 갖다 바치니 왕이 크게 기뻐하여 자기가 소지한 바와 단검을 끄집어 내어 맞추어 보니 하나의 검이 되는지라 왕이 이내 서서 태자로 봉하니라.  (계속)
고구려의 건국신화(주몽 이야기)(2)
 
왕에게 일곱 아들이 있어 언제나 주몽이와 함께 놀더니 그 기능이 주몽을 따라 갈 수가 없어 그 장남 대소가 왕에게 이르기를 주몽은 보통사람의 소생이 아니므로 그 위인이 뛰어난지라 만약 이를 처치하지 아니하면 필시 후환이 있을 것이니 청컨데 이를 제거하소서 한데 왕이 이를 듣지 아니하고 주몽이로 하여금 말을 키우게 한후에 주몽이 그 준마를 알아보고 그 먹이를 줄이고 야위게 하고 우둔한 말은 이를 잘 먹여서 이를 살찌게하니 왕이 살찐말을 자기가 타고 여윈말은 주몽이에게 주더라. 뒤에 들판에 나가 수렵할 제 주몽이 활을 잘 쏘므로 화살이 작은 것은 주몽이에게 주고 화살이 긴 것은 자기들이 차지하였으나 그 짧은 화살로 주몽이가 더 많이 잡았더라...왕자와 신하들이 주몽이를 죽이기를 모의하니 주몽이의 어머니 유화가 음밀히 이를 알고 가로대" 나라사람들이 장차 너를 죽이려하니 너의 지략으로서 하면 무엇이 못할 것이 있겠느냐 여기에 지체하여 욕을 당하는 것 보다는 멀리 귀양감만 못하다" 하거늘 주몽이 그렇다 하고는 조이 마리 협부의 세사람으로 벗으로 하여 엄호수(별명은 개사수,지금 압록강의 동북쪽)에 나아가 강을 건널려고 하니 다리가 없는지라 주몽이를 잡을려고 좇아오는 병사들을 두려워하여 물에 고하기를 "나는 본시 천제의 아들이요 하백의 외손이니 좇아오는 병사들로 부터 나를 구하라 "한데 말이 떨어지자 고기떼와 거북이떼가 올라와서 다리를 놓는지라 주몽이 강을 건너니라 주몽이가 모둔곡에 이르러 세사람을 만나니 그 하나는 삼베옷을 입고 하나는 중옷을 입고 하나는 수조의(물 파래로 만든옷)를 입은자라 주몽이 너이들은 왠 사람이냐 하니 삼베옷을 입은자는 재사라고 하고 납의(중옷)을 입은 자는 무골이라 하고 수조의를 입은자는 묵거라 이름한다하니 그 성은 말하지 않아 이에 주몽은 재사에게는 극씨를 주고 무골은 중실성을 주고 묵거는 소실이라 명하고 이윽고 대중에게 말하기를 내가 천명을 받들어 원기(시작하는 터)를 열려고 하노라 여기 삼현(세사람의 어진사람)을 얻으니 어찌 하늘이 내린 것이라 아니 하리오 하고 각기 그 능력을 보아 소임을 맡겨 이들과 함께 졸본천에 이르니 (중국의 위서에는 걸승골성이라 하다)그 토양이 비옥하고 산천이 아름답고 험준함을 보고 여기에 도읍하려 하나 궁궐을 미쳐 만들지 못하고 갈대풀을 비류수 상에 엮어서 여기에 거하면서 나라를 고구려라 하고 고씨로서 성을 삼으니 갑신의 해요 신라 혁거세왕 21년의 해라 주몽의 나이 22세라 사방에 소문을 듣고 투항하는자가 많더라(계속)
고구려의 건국신화 (주몽 이야기)(1)
 

부여왕 해부루가 연로하여 무자한지라 산천에 제사하고 후사를 구하더니 타고가는 말이 하나의 연못에 이르러 큰돌을 발견하고 콧소리를 치는지라 괴이하게 여겨 사람으로하여금 돌을 치워보니 아이가 하나 잇어 이름을 지어 금와라 하였고 금색의 개구리모양을 하고 있어 왕이 기뻐하여 이는 하늘이 나에게 영륜을 (남의아이) 하사하신 것이라 하고 이를 길러 이름을 금와라고하였다. 장성하여 태자로 봉하였다. 그후에 승상 아란불이 가로대 꿈에 천제께서 나에게 이르되 장차 나의 자손으로 하여금 나라를 세우게 하리라 하니 너이는 이를 피하라.

동해바닷가에서 한땅이 있어 가엽원이라하고 토양이 살찌고 오곡이 자라는데 적당하니 가히 도읍지라 왕에게 권하여 도읍을 옮겨 나라를" 동부여"라 하였다. 그 구도읍지에 사람이 있어 자칭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하고 도읍으로 오니라. 해부루가 몽함에(몽은 왕이 죽음)금와를 후사로 하니라.

여자를 태백산 남쪽 우발수에서 얻고 물으니 나는 하백의 딸로서 유화라고하는 자인데 동생들과 놀적에 한남자가 있어 자칭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하고 나를 유인하여 웅심산 밑에 압록실중에 들어가 나와 사통하고 기왕에 돌아오지 못한지라 부모님은 무모하게 사람을 따라간 것을 책하여 드디어 여기에 적거하게 되었다하더라. 금와가 이상히 여겨 유화를 방에 유폐하였다. 햇빛이 비추이면 이를 피하였으나 해의 그늘이 또 찾아와 임신하였으니 한 알을 생산한지라 왕이 이를 버려서 개나 도야지에게 주어도 이를 먹지않고 길바닥에 버린즉 우마가 모두 모두 이를 피하고 드디어 들판에 갖다 버리니 새들이 이를 덮어서 감싸는지라 왕이 이를 괴이하게 여겨 이를 쪼개고저하나 부능한지라 이를 유화에게 돌려주었더니 유화가 이를 받아 따뜻한곳에 두니 한 남자아이가 껍질을 개고 출생한지라 골상이 수려하고 나이 일곱살에 다른아이와 달리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니  백발백중이라 부여의 속담에 활을 잘 쏘는자를 주몽이라하였으니 그 주몽이라는 이름이 생긴것이다.  (계속)